2025 리그오브레전드 이슈: LCK·LPL ‘국제 더비’ 최고조, Gen.G MSI 우승 이후 판도 재편
2025 리그오브레전드 이슈: LCK·LPL ‘국제 더비’ 최고조, Gen.G MSI 우승 이후 판도 재편
도입부
2025년 글로벌 e스포츠 판도에서 가장 뜨거운 키워드는 단연 리그오브레전드의 LCK·LPL 라이벌전이다. 2024년 봄 LCK의 Gen.G가 MSI에서 우승을 거머쥐며 흐름을 바꿔놓았고, 2023 롤드컵을 제패한 T1의 상징성까지 더해지며 아시아 두 리그의 힘겨루기는 2025 시즌 초반까지 이어지고 있다. 국제전에서 증명된 팀 파워와 메타 적응력, 그리고 지역 리그의 시스템 개편이 맞물리며 ‘누가 진짜 세계 1위 리그인가’라는 질문이 다시 화제가 됐다.
핵심 내용
- Gen.G는 2024 LCK 스프링 결승에서 T1을 3-0으로 제압한 뒤, 중국 청두에서 열린 MSI 2024 결승에서도 Bilibili Gaming(BLG)을 3-1로 꺾고 국제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결승 무대에서 미드라이너 최민철(Chovy)이 압도적 경기력을 선보이며 MVP로 선정됐고, LCK는 T1 외 구단의 국제 우승 갈증을 해소했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컸다.
- 2023 롤드컵에서 T1이 서울 무대에서 우승하며 ‘왕조’의 귀환을 알렸고, 이 기세는 2024~2025 시즌에도 흥행 동력으로 이어졌다. 국제 이벤트 간격이 짧아진 가운데 상위권 팀들의 맞대결 빈도와 무게감이 커지며 매 대회가 ‘빅게임’으로 소비되는 흐름이다.
- 메타 측면에선 초반 전령·용 타이밍 주도권과 미드·정글의 스노우볼링이 경기 양상을 좌우했다. 강력한 한타 설계 능력과 라인 주도권을 동시에 갖춘 팀이 국제전에서 꾸준히 승률을 담보했고, 이는 Gen.G의 MSI 우승 운영과 BLG·T1의 경기 플로우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됐다.
추가 정보
- 리그 구조·운영: 2024년을 기점으로 라이엇은 국제 대회의 위상을 재정립했다. 라이엇 게임즈는 “MSI는 시즌 중반 최고의 팀을 가리는 대회”라고 설명하며(공식 대회 안내) 스프링 성과를 국제 무대 직결 변수로 삼았다. 이로 인해 스프링 단계부터 ‘국제 메타’ 적응도가 주요 이슈로 부상했고, 2025 시즌 초반에도 동일 기조가 이어진다.
- 흥행 지형: 국제전 빅매치 중심으로 시청층이 결집하는 경향이 강화됐다. LCK vs LPL 카드가 성사될 때마다 글로벌 팬덤의 관심이 폭발하며 SNS·커뮤니티 바이럴이 빠르게 확산되고, 코스메틱·콜라보 등 문화 콘텐츠와도 시너지를 내고 있다. 특히 MSI 2024 결승의 3-1 스코어라인과 스프링 결승의 3-0 스윕은 ‘클린 게임’에 대한 선호와 동시에 변수 한 방을 노리는 밴픽 심리전까지, 승부의 명확성과 드라마를 모두 충족시켰다는 평가다.
- 선수·팀 화제성: T1의 상징성, Gen.G의 세대교체 서사, BLG의 LPL 대표성은 2025 시즌까지 가장 인기 있는 이슈 라인업을 형성한다. 국제전에서 확인된 핵심 메시지는 단순하다. 미드·정글의 템포와 바텀 캐리의 피니시 능력을 동시에 갖춘 팀만이 ‘연속성 있는 강팀’으로 살아남는다는 것. 이 기준에 맞춰 스카우팅·밴픽·코칭의 세부 전략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결론
2025년 리그오브레전드는 ‘최신 메타 적응력’과 ‘국제전 완성도’가 모든 담론을 빨아들이는 중이다. 2024 MSI에서 Gen.G가 3-1로 정상에 오르며 LCK의 저력을 재증명했고, 2023 롤드컵 우승 T1 이후 이어지는 아시아 양대 리그의 대결 구도는 올해도 가장 인기 있고 화제성 높은 서사로 팬들을 끌어당긴다. 빅매치에서는 한타 한 번, 오브젝트 한 타이밍의 판단이 시즌의 향방을 바꾼다. 결국 2025년의 키워드는 명확하다. 뜨거운 국제 더비 속에서 누가 ‘빠른 템포와 정확한 마무리’를 끝까지 유지하느냐. 전 세계의 시선이 다음 무대의 밴픽 타이머에 걸려 있다.